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PD News
PD레터
PD 긴급대응
PD 어셈블
지금 신청하기
PD 활동회원가입
제 5회 PD 쇼케이스
쇼케이스 신청하기
Q&A
공간예약
후원하기
About 피스디자이너
닫기
사이트 로고
PD News
PD 어셈블
제 5회 PD 쇼케이스
공간예약
후원하기
About 피스디자이너
PD News
PD레터
PD 긴급대응
PD 어셈블
지금 신청하기
PD 활동회원가입
제 5회 PD 쇼케이스
쇼케이스 신청하기
Q&A
공간예약
후원하기
About 피스디자이너
site search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로고
site search
로그인
회원가입
MENU
사이트 로고
로그인 위젯 문구
PD News
[기타]
[서평] 그림자 놀이 / 그림책 독서토론
디자이너피스
2022-11-30
조회수 361
그림책 토론 입문 과정 in 숭례문학당
📔 「그림자놀이」
✍🏻 이수지
📇 비룡소
📖 20 page
그림책은 어렸을 때부터 거의 안봤던거 같아요.
한글을 배우기 전부터 어머니가 이솝우화, 전래동화를
읽어주셨거든요.
그래서인지 지금도 제 안에서는 그림책을 약간 가볍게
생각하는 마음이 있어요. '그림책은 책이라고 할 수 없지!’라던가, '무슨 그림책이 14,000원 씩이나 한담!' 하면서 말이죠.
숭례문학당 그림책 독서토론 입문 과정을 신청하면서
비슷한 생각을 하긴 했어요.
참가비가 너무 비싸서 쉽게 엄두가 안나더라구요.
그림책 토론을 통해 얼마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지 약간의 걱정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그림책의 구성을 살펴보니, 작가의 상상력을 무궁무진하게 담아낼 수 있겠다고 느껴졌어요.
판형(그림책의 크기)부터 색감, 재질, 표현 기법이 작가마다 제각기 다르더라구요.
미술 작품을 봐도 별 감흥을 느끼지 못하는 저로서는,
어쩌면 그림책이 예술감각을 발달시키기 좋은
출발점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
「그림자놀이」는 이수지 작가의 경계 삼부작 중 마지막 시리즈라고 해요. 경계 삼부작은 「파도야 놀자」, 「거울 속으로」, 「그림자놀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셋 모두 책 중앙의 제본선을 포인트로 잡아 만들어졌는데, 이런 구성적 요소에서 작가의 독창성이 엿보였어요.
또 다른 특징으로 세 권 모두 '글 없는 그림책'이에요.
저도 글 없는 그림책은 처음이었는데, 그럼에도 토론이 2시간 넘게 끊기지 않고 진행되더라구요. 독서모임이 이렇게도 진행될 수 있구나~ 하고 새로 배웠습니다.
••
그림책보다는 글이 있는 책을 아이에게 보게 하는게 좋지 않을까? 아마 이런 고민을 저희 부모님은 하셨을 거 같아요.
근데 그림책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무엇보다 부담없이 책과 가까워 질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요 :)
제가 나중에 아이를 낳아 키운다면, 그림책을 많이 보여줘야겠다고 생각이 들어요.
글 없는 그림책도 좋은 거 같아요!
책을 읽으면서 아빠랑 같이 얘기를 나누면 되니까요 :)
••
그림책 토론을 하면서 모두 어린 아이들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받았어요. 글이 없으니 다양하고 자유로운 해석들이 가능하더라구요.
어른의 눈으로 보았을 땐 보이지 않던 것들이
함께 읽자 보이기 시작했던 색다른 경험을 하고 왔어요 :)
0
0
작성
[보도자료] 제4회 PD쇼케이스 공모전...5개 팀 총 1000만원 지원
[잇타클럽 토크콘서트] 코로나위기를 넘긴 여행사업가 이야기 - 박민성강사
목록
📔 「그림자놀이」
✍🏻 이수지
📇 비룡소
📖 20 page
그림책은 어렸을 때부터 거의 안봤던거 같아요.
한글을 배우기 전부터 어머니가 이솝우화, 전래동화를
읽어주셨거든요.
그래서인지 지금도 제 안에서는 그림책을 약간 가볍게
생각하는 마음이 있어요. '그림책은 책이라고 할 수 없지!’라던가, '무슨 그림책이 14,000원 씩이나 한담!' 하면서 말이죠.
숭례문학당 그림책 독서토론 입문 과정을 신청하면서
비슷한 생각을 하긴 했어요.
참가비가 너무 비싸서 쉽게 엄두가 안나더라구요.
그림책 토론을 통해 얼마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지 약간의 걱정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그림책의 구성을 살펴보니, 작가의 상상력을 무궁무진하게 담아낼 수 있겠다고 느껴졌어요.
판형(그림책의 크기)부터 색감, 재질, 표현 기법이 작가마다 제각기 다르더라구요.
미술 작품을 봐도 별 감흥을 느끼지 못하는 저로서는,
어쩌면 그림책이 예술감각을 발달시키기 좋은
출발점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
「그림자놀이」는 이수지 작가의 경계 삼부작 중 마지막 시리즈라고 해요. 경계 삼부작은 「파도야 놀자」, 「거울 속으로」, 「그림자놀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셋 모두 책 중앙의 제본선을 포인트로 잡아 만들어졌는데, 이런 구성적 요소에서 작가의 독창성이 엿보였어요.
또 다른 특징으로 세 권 모두 '글 없는 그림책'이에요.
저도 글 없는 그림책은 처음이었는데, 그럼에도 토론이 2시간 넘게 끊기지 않고 진행되더라구요. 독서모임이 이렇게도 진행될 수 있구나~ 하고 새로 배웠습니다.
••
그림책보다는 글이 있는 책을 아이에게 보게 하는게 좋지 않을까? 아마 이런 고민을 저희 부모님은 하셨을 거 같아요.
근데 그림책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무엇보다 부담없이 책과 가까워 질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요 :)
제가 나중에 아이를 낳아 키운다면, 그림책을 많이 보여줘야겠다고 생각이 들어요.
글 없는 그림책도 좋은 거 같아요!
책을 읽으면서 아빠랑 같이 얘기를 나누면 되니까요 :)
••
그림책 토론을 하면서 모두 어린 아이들로 돌아간 듯한 느낌을 받았어요. 글이 없으니 다양하고 자유로운 해석들이 가능하더라구요.
어른의 눈으로 보았을 땐 보이지 않던 것들이
함께 읽자 보이기 시작했던 색다른 경험을 하고 왔어요 :)